주어진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듯, 무용수들은 감정노동자의 역할들(보육교사, 콜센터 직원 &마트 캐셔, 휴대폰 a/s기사, 패밀리 레스토랑 조리사 겸 서버, 경호원, 뷰티 매니저, 간호조무사)을 담당한다. 퍼포머는 2분 30초 동안 해석된 공간 안에서 정지된 동작으로 견뎌낸다. 이 때 나는 계속'웃어주세요'라는 주문을 한다. 멈춰진 동작과 과장된 사운드 안에서 퍼포머는 시간을 견디고, 감정을 조정한다. 그리고 그 견뎌낸 시간은 '컷'이라는 강제적인 시간의 종료로 마무리된다. 봉합되지 않은 영상의 지속시간은 육체적, 정신적 고통 속에서도 '웃도록 노력하라'는 주문으로 뒤틀려 있음을 보여준다.
연출의도
움직임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무용수들을 정지상태로 만들어 놓은 아이러니가 있다. 외적인 공간 안에서 통제되는 육체와 감정이 있다. 그 통제된 것들은 바로 자본화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던가.
조혜정
[담을 넘어가는 경우의 수](2018)
[밀실과 정치](2017)
[스크린 + 액션!](2017)
[도큐멘트 70: 속물에 대한 6가지 테제, '웃으면 복이와요'](2016)
[홀드 미](2013)
[재구성의 경로들](2011)
[통(痛): 상실한 것에서 그들이 기억하는 것 2](2010)
[통(痛): 상실한 것에서 그들이 기억하는 것 1](2009)
[대안적 연대기](2008)
[향항(香港)](2008)
[위대한 타자들](2007)
[몸 연구](2007)
[친숙한 이방인들](2006)
[출산 다큐멘트](2005)
[리틀 시카고 동두천](2004)
[부산 텍사스](2004)
[성권력의 문화적 각본들](2003)
[젠더, 제스츄어 그리고 공간에 관한 실험](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