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그라운드
인디그라운드
  • 독립영화 라이브러리
    • 라이브러리 작품 리스트
    • 추천 큐레이션
    • 공동체상영 신청
  • 온라인 상영관
  • 청소년 추천 독립영화
  • 독립예술영화 DB
  • 지원사업
  • 인디그라운드
    • 커뮤니티
    • 센터소개
    • 오시는 길
로그인로그인
회원가입회원가입

indieground with SNS

  • 인스타그램
  • 페이스북
  • 유튜브
  • 메뉴온오프
  • 검색
인디그라운드
인디그라운드
  • 독립영화 라이브러리
    • 라이브러리 작품 리스트
    • 추천 큐레이션
    • 공동체상영 신청
  • 온라인 상영관
  • 청소년 추천 독립영화
  • 독립예술영화 DB
  • 지원사업
  • 인디그라운드
    • 커뮤니티
    • 센터소개
    • 오시는 길
로그인로그인
회원가입회원가입

indieground with SNS

  • 인스타그램
  • 페이스북
  • 유튜브
  • 메뉴온오프
  • 검색

예고편

00:02:00

본편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 2022 독립영화 라이브러리

  • The Pregnant Tree and the Goblin
  • 2019
  • 극영화
  • 115분 15초
  • 15세이상 관람가
  • 컬러
  • 한국어
  • 자막없음
제작사
(주)시네마달
웃음과바늘필름&아카이브
배급사
(주)시네마달
온라인배급사
(주)콘텐츠판다
감독
김동령, 박경태
출연
박인순, 김아해, 김미숙, 신승태, 신윤숙, 조은경
개봉
2022년 01월 27일
키워드
#인권 #판타지 #여성 #실험 #기지촌 #드라마
시놉시스
“마침내 죽음이 찾아왔다.”

한 번 들어오면 빼도 박도 못하고 죽어야 나갈 수 있는 곳 ‘뺏벌’.
그곳엔 누구보다 죽음을 많이 본 여자, 인순이 있다.

저승사자들은 뺏벌의 유령들을 데려가기 위한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인순은 그들에게 맞서기 위해 자신만의 이야기를 펼치기 시작한다.

Review
함부로 대명사가 된 이름을 더 꼽아 부르고 싶은, 그래야만 하는 일 년을 샜다. 무력에 의해 밀려나는 혼령이 더는 생기지 않길 바랐다. 우리는 희생의 이름과 당시의 날을 거듭 외우는 일을 마다해선 안 된다. “이야기가 되지 못한 이야기에 관한 이야기”.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 예고편에 쓰인 이 말은 나를 사뭇 진동하게 했다. 저승사자가 삼 회를 호령하면, 목숨이 멎는 일 역시 석 자가 있어야 가능하다. 그 명제는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에도 해당한다. 인순은 뺏벌에서 살아가며, 이름을 잃은 귀신들의 곁을 차지한다. 그들은 ‘우리’였던 기지촌 여성들이다. 인순은 기꺼이 목을 긋는 복수에 동참했고, 허기를 달랠 수 있게 먹였다. 영화엔 인순과 혼을 ‘이야기’로 모으겠다는 욕구를 지닌 인물이 여럿 나온다. 열띤 취재를 하던 작가와 명부가 없으니 사연을 넣어 데려가야 한다는 저승사자의 무리. 이 사회는 슬픔을 이익으로 교환하려 든다. 애도마저 호오에 맞춰 간편히 이송되길 원하는 것 같다. 그러나 우리는 명확히 안다. 정녕 이름은 매도될 수 없음을. 이를 인순도 안다. 인순은, 그들의 서사가 되어주지 않는다. 불면을 혼과 거뜬히 나며, 복수와 친애로 서로의 서사를 돕는다. 그렇게 함께 이름이 되어 ‘이야기’로 완성될 이 영화는 무척 숭고하다.

*관객기자단[인디즈]_김해수

연출의도
영화는 기지촌 여성이었던 박인순의 자전적 역사쓰기에 관한 픽션이며 존재했으나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 이야기에 관한 이야기이자 소멸에 저항하기 위한 복수극이다.
영화제 상영 및 수상작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2019)
제45회 서울독립영화제 - 집행위원회특별상(2019)
제8회 광주독립영화제(2019)
제34회 이미지 포럼 페스티벌 - 테라야마 슈지상(2020)
제49회 로테르담국제영화제(2020)
제20회 인디다큐페스티발(2020)
제3회 스페인 인디&다큐 한국영화제(2020)
제20회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2020)
제13회 헝가리한국영화제(2020)
제22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2020)
제21회 제주여성영화제(2020)
제12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2020)
제11회 광주여성영화제(2020)
제4회 베를린 한국독립영화제(2020)
제12회 대만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2021)
제15회 여성인권영화제(2021)
제17회 워싱턴 한국영화제(2021)
제7회 충무로영화제-감독주간(2022)
감독작품경력
김동령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2019)
[밤손님](2015)
[거미의 땅](2013)
[아메리칸 앨리](2009)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2006)
[Lost and Found](2004)

박경태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2019)
[문의 여정](2015)
[거미의 땅](2013)
[사당동 더하기 22](2008)
[노병은 사라지지 않는다, 다만](2008)
[있다](2005)
[나와 부엉이](2003)

포토

확대
닫기
확대
닫기
확대
닫기
확대
닫기
확대
닫기
확대
닫기

스태프

감독 김동령, 박경태 각본 김동령, 박경태
제작 김일권 프로듀서 김일권
촬영 김동령, 박경태, 류형석, 안현준 편집 김동령, 박경태
음악 투명 음향 류형석, 안현준

다른 채널에서 영화 감상하기

  • 네이버 시리즈온

    네이버 시리즈온

    바로가기
  • 웨이브

    웨이브

    바로가기
  • 구글플레이

    구글플레이

    바로가기
  • 영화진흥위원회
  • 인디그라운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오시는길


04536 서울시 중구 명동8길 27, 엠플라자 5층 Tel.02.757.0999 Fax.02.757.0991 e-mail: indieground@indieground.kr

COPYRIGHTS © 2020 BY KOFIC. ALL RIGHTS RESERVED.

TOP